본문 바로가기

[책 소개] 한국인의 마음속엔 우리가 있다

반응형

한국인의 마음속엔 우리가 있다

이미지
ISBN : 9791192445359
제목 : 한국인의 마음속엔 우리가 있다
저자 : 김태형
출판사 : 온더페이지
출간일 : 20230601

가격 : 17,000원 => 15,300원

( 가격은 사이트별 상이 할 수 있습니다 )

책소개

한국인의 심리를 이해하기 위한 역사와 문화의 재발견,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이상사회를 꿈꾸는 한국인에게
인심과 온정을 꽃피우게 해줄 ‘우리주의’를 전하다

‘높은 자살률’ ‘극단적 이기주의’ ‘자본만능주의’ 등 한국 사회를 수식하는 표현들은 한국인의 심리를 어지럽히고 있다. 무엇보다 ‘사람’을 사랑하는 한국인은 인간중심적 사고관을 역사적으로 이어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한국인은 의심과 갈등이 팽배한 한국 사회에서 상처받고 정처 없이 헤매고 있다.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풍요중독사회』 등의 저서로 한국의 현주소를 파헤쳐 온 저자는, 이번 책에서 독자가 한국인이 진정으로 추구해야 할 행복이 무엇인지를 알리고자 한다.
저자는 한국인의 진정한 행복을 정의하기 위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분석 도구로 삼아 한국인의 심리를 분석해왔다. 이러한 분석으로 한국인만의 고유한 특성인 ‘우리성’을 발견한다. 개인과 개인이 믿음과 사랑으로 끈끈한 관계를 맺으려는 특성이 ‘우리성’이며, 한국인은 이러한 우리성이 강한 민족이라고 정의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인은 ‘가족’이라는 작은 우리와 ‘국가적 결합’이라는 큰 우리까지 모든 우리 관계를 소중히 여기며, 한국인의 진정한 행복은 우리 관계에 있음을 이야기한다. 더불어 저자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한국인의 ‘우리성’ ‘인간중심성’ ‘비종교성’ ‘도덕성’ ‘낙천성’이라는 특성을 각각 분석해 다른 민족에게서 볼 수 없는 한국인의 위대함도 전한다.
이 책의 제목처럼 한국인의 마음에는 민족적, 국가적 큰 우리를 이루고자 하는 열망이 있다. 저자는 이 책으로 개인 간 경쟁과 격차 확대 때문에 생긴 다층적 위계화로 ‘우리’를 상실한 한국인에게 진정으로 우리가 무엇을 추구해야 할지 고민하기를 요청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민이 범국가적으로 집중되었을 때 한국인의 진정한 행복이 눈앞에 다가올 것으로 기대한다.

출판사 서평

가장 한국적인 심리학적 접근으로
한국인의 집단심리와 삶의 방향을 제시하다

역사적으로 이어져온 우리가 되려는 성향이 강한 한국인의 특성을 분석한 저자는 극단적 이기주의가 만연한 사회에서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한국인의 고유한 5가지 특성은 ‘우리성’ ‘인간중심성’ ‘비종교성’ ‘도덕성’ ‘낙천성’이다. 우리성은 한국인이 타인과 허물없는 관계 맺기를 원하며, 타인의 생각과 감정에 적극 공감해 ‘우리 관계’를 강하게 원한다는 특성이다. ‘우리 가족’ ‘우리 엄마’ 등의 표현에서 사용된 우리라는 표현에서 한국인은 우리성의 민족임을 설명할 수 있다.
인간중심성은 한국인이 다른 국가의 사람들보다 인간을 가장 존중하며 사랑한다는 특성이다.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단군신화의 ‘홍익인간’ 사상적 뿌리에서 발전해온 한국인은 인간중심적 특성을 타고날 수밖에 없다. 다른 국가보다 개종이 비교적 쉽고 종교적 영향력이 낮은 한국인의 특성은 비종교성으로 설명했으며, 과거의 양반계층, 현재의 공인들에게 엄격한 ‘청렴결백’ 기준을 세우고 잘못된 점을 풍자와 해학으로 비판한다는 점에서 도덕성, 낙천성을 설명했다.
저자는 자신이 정리한 한국인의 5가지 특성을 이야기하며 잃어버린 한국인의 행복을 되찾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모든 한국인이 우리 관계가 되어 한마음, 한뜻으로 뭉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을 읽고 한국인의 민족성을 깨닫고 자신의 삶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란다.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 한국인의 심리
민족성이란
민족성 형성, 발전의 원인
한국인만의 민족성

1부 - 우리
1장 집단주의와 우리
집단주의의 동기
가짜 집단주의
가짜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집단과 우리
우리주의 감정과 우리성
우리와 평등
우리가 되면 무엇이 좋을까
우리성의 원인

2장 가족과 우리
가족과 가족심리
가족주의와 우리
가족 확장성인가, 아니면 우리성인가
서열주의

3장 우리 관계
비계산적 관계
마음을 주고받는 관계
마음 알아주기
경계란 없다
스킨십의 원조

4장 우리에 대한 열망
한국 사회의 큰 우리

2부 - 인간중심
1장 인간중심성
한국인의 개방성
인간에 대한 믿음
조화(어울림)
인간사랑 그리고 정
큰 우리와 친절

2장 인간은 존엄하다
주체적인 한국인
민초들의 힘
인간중심적 양육

3장 감정을 중시하는 한국인
한국인은 왜 감정을 중시할까
감정의 진폭이 큰 한국인
신바람과 흥

3부 - 비종교
인간을 위한 종교
현세주의
비종교성의 원인

4부 - 도덕
우리를 위한 도덕
도덕적 평가
힘에는 굴복하지 않겠다
의리에 살고 의리에 죽는 한국인

5부 - 낙천
풍자와 해학의 민족
한국인은 왜 낙천적일까

나오며 - 이상사회에 대한 열망
민족성의 종착지
이상사회에 대한 꿈

미주

본문중에서

모두가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제도라는 동일한 사회제도 혹은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그 결과 모두가 동일한 집단심리를 가지게 되었지만 근본적으로 한국인은 분명히 미국인이나 일본인과 다르다. 한국인은 미국인이나 일본인에게 없는 민족성, 민족심리를 가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한국인, 한국인의 집단심리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한국인의 민족성을 먼저 알아야 한다. (14~15쪽)

한국인과 일본인은 개인보다 집단을 우선시하는 특성, 즉 집단성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집단을 우선시하는 동기에 있어서 양자 간에 큰 차이가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한국인이 자발적으로 또 기꺼이 집단을 우선시한다면 일본인은 집단이나 타인들을 두려워해서 어쩔 수 없이 집단을 우선시한다. (36쪽)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사회인 오늘날의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불평등 사회다. 세계 최고 수준인 한국의 자살률은 한국 사회에서 우리가 붕괴하고 사라지는 시점인 90년대부터 급증하기 시작했다. 한국인은 우리가 되어 살아갈 때 가장 행복해하고, 우리를 상실할 때 가장 힘들어한다. 한국 사회가 한국인의 자살률을 낮추려면 우리가 되는 것을 가로막는 주범인 불평등 문제부터 해결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68쪽)

예전에 한국인은 친구의 어머니를 ‘어머니’라고 불렀다. 나아가 처음 보는 여성일지라도 자기 어머니와 같은 연배면 스스럼없이 어머니라고 불렀다. 현상적으로만 보면 한국인이 가족 개념 혹은 가족관계를 사회적으로 확장해 그것을 기준으로 사회를 바라본다는 것은 사실이다. 한국인이 먼 옛날부터 진정으로 원했었고 지금도 간절히 원하는 것은 온 사회가 하나의 가족이 된 세상, 즉 ‘모두가 우리가 된 세상’이다. (99~101쪽)

전통적으로 한국인의 삶의 목적은 훌륭한 인간, 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의 표현을 빌리자면 ‘완전한 사회적 존재’가 되는 것이었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과거 한국인은 모두가 하나 되는 이상사회를 꿈꾸었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개인들이 인격수양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즉 서양처럼 개인의 개성화나 자아실현 그 자체를 목적으로 여기지 않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인격수양을 하고 가정을 안정화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162쪽)

한국인은 먼 옛날부터 인간중심적인 세계관과 인생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인은 종교가 없어도 바람직한 삶이란 어떤 것인지,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었다. 한국인에게 바람직한 삶은 인간답게 사는 삶이고 삶의 의미는 우리를 위해 살아가는 것이다. (234쪽)

한국에서는 제아무리 직업인 혹은 전문가로서의 업적이 훌륭해도 도덕적으로 하자가 있으면 대중에게 외면당한다. 미국의 전 대통령인 빌 클린턴은 백악관에서의 성추문으로 인해 대국민 사과를 했지만 대통령직은 그대로 유지했다. 그러나 만일 한국의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성적 일탈행위를 했다는 사실이 폭로되면 그는 대통령직을 유지하지 못했거나 스스로 퇴진했을 것이다. (248~249쪽)

한국인은 흔히 풍자와 해학의 민족으로 불린다. 그 이유는 문학과 예술을 비롯한 한국 문화의 전반에 풍자와 해학이 깃들어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한국인도 풍자와 해학의 전통을 면면히 이어나가고 있다. 한국에서 인터넷 시대가 열린 이후 ‘드립(애드리브의 준말)의 민족’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인터넷 공간에서는 각종 패러디와 드립이 넘쳐났다. 이 중에서 현실을 향한 날카로운 비판을 담은 풍자형 패러디는 한국 인터넷 문화의 백미로 꼽히기도 한다.
(260~261쪽)

반응형